반응형
👩❤️👨 소득 적은 신혼부부가 받을 수 있는 혜택 5가지 (2025년 기준)
신혼살림 시작하자마자 걱정되는 건 역시 ‘돈’이에요.
특히 소득이 많지 않다면 정부 지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게 정말 중요하죠.
오늘은 2025년 기준, 소득이 적은 신혼부부가 꼭 알아야 할 혜택 5가지를 소개할게요.
✅ 1.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(버팀목 대출)
- 대상: 혼인 7년 이내 &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- 한도: 수도권 최대 2억 원
- 금리: 연 1.8%~2.4% (소득 낮을수록 우대)
💡 전세 자금 마련이 부담스러운 신혼부부라면 꼭 검토해야 할 대출이에요.
신청 방법: 주택도시기금 사이트
✅ 2. 신혼부부 특별공급 (청약제도)
- 공공분양 및 민영주택에 일정 비율 배정
- 우선순위: 무주택 기간, 부양가족 수, 청약저축 가입 기간 등
💡 청약 가점이 낮은 신혼부부도 당첨 기회가 있어요!
신청 방법: 청약홈 바로가기
✅ 3. 육아휴직 급여 + 부모급여
- 육아휴직 급여: 월 최대 150만 원 (최초 3개월은 통상임금의 80%)
- 부모급여: 만 0세 월 100만 원 / 만 1세 월 50만 원 (2025년 기준)
💡 자녀 출산 후 일정 소득 이하라면 부모급여도 함께 받을 수 있어요.
신청 방법:
✅ 4.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금 대출
- 대상: 생애최초 주택 구입 +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신혼부부
- 금리: 연 1.6%~2.1%
- 한도: 최대 4억 원까지
💡 주택 마련 계획이 있다면 이 상품 먼저 비교해보세요.
신청 방법:
- 주택도시기금 공식 홈페이지 → nhuf.molit.go.kr
- 은행창구(우리은행, 신한은행 등 주택도시기금 취급은행)에서도 접수 가능
✅ 5. 신혼부부 취업·창업 지원 (지자체별)
- 각 지자체마다 신혼부부 창업지원금, 임차보증금 지원, 공공임대 우선 입주 등 다양한 제도 운영 중
- 서울시, 경기도, 세종시 등이 특히 활발하게 지원하고 있어요.
💡 거주 지역별 홈페이지 확인하면 꿀정보를 찾을 수 있어요!
신청 방법:
✨ 마무리: 신청 안 하면 못 받는 혜택이에요!
복지 제도는 ‘알아야 받을 수 있는’ 정보예요.
지금이라도 본인 소득과 조건에 맞는 혜택부터 하나씩 신청해보세요.
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시고,
공감/저장 해두시면 앞으로 더 유용한 정보도 챙겨드릴게요!
반응형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내돈내산] 신생아 수유 후 손목 통증 때문에 샀어요|히트스팟W 손목마사지기 솔직 후기 (9) | 2025.04.30 |
---|---|
👶 2025년 부모급여로 살 수 있는 추천 아기용품 5가지 (1) | 2025.04.20 |
💰소득이 낮을 때 받을 수 있는 혜택 총정리 (2025년 4월) (2) | 2025.04.19 |